
정 대표는 지난 13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부산 '지스타' 현장 최고위 갑니다"라고 밝히며 현장 방문을 예고했고, 이날 '지스타' 현장 관람에 이어 '지스타 2025 K게임 미래 전략을 위한 현장 간담회' 참석해 게임업계 임원들과 다양한 사안을 논의했다.

당시 2002년 통계에서 게임산업 수출 규모가 드라마·음반·영화보다 4배 이상 컸다는 자료를 확인하고 미래 성장성을 확신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한체육회 e스포츠 정식종목 추진, 국방부 e스포츠 상무팀 신설 제안 등 제도적 기반 확충을 위해 노력했던 일화도 전했다.


정 대표는 "게임은 K-한류의 63%를 차지하는 핵심 산업"이라며 "산업에 남아 있는 부정적 인식을 국회가 앞장서 해소하고, 종사자들이 어깨 펴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게임은 K-콘텐츠 산업의 킬러 콘텐츠"라며 "지스타 현장에서 확인한 업계의 가능성과 에너지를 바탕으로 산업 진흥 정책을 강화하겠다. 필요한 제도 개선 요구가 있다면 민주당이 적극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협회장은 "한국 게임산업은 30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둬 세계 4위 게임 강국이 됐다"라면서도 "최근에는 성장 지속에 대한 많은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께서 말한 K-콘텐츠 300조, 해외매출 50조 시대에 선봉에 게임업계가 설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부탁한다"라고 말했다.

게임업계에서는 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협회장, 엔씨소프트 박병무 대표, 넷마블 김병규 대표, 카카오게임즈 한상우 대표, 넥슨코리아 김용대 부사장, 컴투스 김종창 전무, 크래프톤 장태석 부사장, 스마일게이트홀딩스 성준호 대표, 웹젠 김태영 대표, 네오위즈 배태근 대표, 엑스엘게임즈 최관호 대표, 앵커노드 원재호 대표, NHN 김재환 이사가 참석했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