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일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데일리게임과 만난 이 보좌관은 "이번 '게임산업 진흥 종합계획'에 나타난 지원 방안들이 구색 맞추기에 불과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게임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지원과 규제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도경 보좌관은 국민의힘 이동섭 전 의원,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의원 등 친 게임 행보를 보인 의원들의 보좌관을 거치며 대리 게임 처벌법, 사설 서버 처벌 보완법, 해외 게임사 국내 대리인 지정 제도 등 게임 관련 활발한 입법 활동을 펼친 인물이다.

이도경 보좌관은 정부가 '게임산업 진흥 종합계획'의 밸런스 조절에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이용자 권익 보호라는 전체적인 방향성에는 찬성하지만 게임산업에 대한 지원책과 함께 마련돼야 하는데 실질적인 지원 방안이 부족하다는 것.
먼저 '게임산업 종합 진흥계획'에 핵심으로 제기된 콘솔 및 인디게임 지원 부분에 대해 이도경 보좌관은 "단순히 지원을 늘리는 수준에 그쳤다"며, "해당 정책의 지원이 게임의 개발 완료가 전제라는 점에서 정책 개발자, 정부 기관에서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나아가 "개발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이어갈 수 있도록 위험부담을 줄이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e스포츠 진흥안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도경 보좌관은 "적지 않은 e스포츠 상설 경기장들이 활성화 되지 않은 시점에서 새로운 e스포츠 경기장 건립을 발표한 것은 현실을 제대로 짚지 못한 것"이라며, "지역 연고제도 제대로 된 재정 지원이 없는 상황에서는 활성화시키기 어려울 것"이라 말했다.
이어 "이미 e스포츠 토토는 사설 베팅 시장이 커져가고 있는 상황에서 양성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무런 노력없이 사행성이 우려된다고 주장한다면 e스포츠 산업 진흥에 대한 의지를 보이지 않는 것"이라 덧붙였다.
![[인터뷰] 이도경 보좌관 "'진흥'없는 진흥안, 지원과 규제 사이 '밸런스 패치' 필요해"](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4050918592409763a7a3ff81e61839820248.jpg&nmt=26)
앞으로도 이도경 보좌관은 게임업계와 게임 이용자들을 위한 활동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다가오는 제22대 국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강유정 의원실에 보좌관으로 합류해 게임 관련 입법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해외 게임사 국내 대리인 지정 제도,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 개편안 등도 임기 만료로 최종 폐기된다면 강유정 당선인의 승인을 받아 재발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그는 "(강유정 당선인도) 이전부터 게임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많았고, 정책적인 지향점이 같아 신속한 진행이 가능할 것 같다"며, "해당 정책들이 통과될 것으로 보이지만, 어디에서 반대 의견이 나타날지 확답할 수 없다는 점에서 빠른 시일 내 통과는 어려울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인터뷰] 이도경 보좌관 "'진흥'없는 진흥안, 지원과 규제 사이 '밸런스 패치' 필요해"](https://cgeimage.commutil.kr/phpwas/restmb_allidxmake.php?pp=002&idx=3&simg=2024050919002001796a7a3ff81e61839820248.jpg&nmt=26)
이학범 기자 (ethic95@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