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벤처 비트 등 해외 매체들은 최근 미국 뉴욕에서 개최됐던 북미지역 닌텐도 스위치2 공개 행사에 참가했던 닌텐도의 개발자 세션 내용을 공개했다.
카와모토 코이치 기획제작부 프로듀서와 도타 타쿠히로 기획제작부 담당 부장, 사사키 테츠야 기술개발본부 부본부장 등이 참석한 이 세션에서는 새로운 기능은 물론 편의성, 호환성 등에 대해 다양한 질문이 이어졌다.
또한 조이콘2를 본체에서 분리했을 때 커넥터가 노출돼 파손이 우려된다는 의견에는 "언뜻 보기에는 허술해 보일 수 있지만 제품을 잡아보면 커넥터에 힘이 가해질 경우 분산되는 구조다. 손이 닿는 부분이 허술하게 만들어지지 않았음을 알게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닌텐도 스위치는 OLED 버전도 출시됐지만 닌텐도 스위치2는 LCD가 채택됐다. 이에 대해 개발진은 "그 동안 많은 기술 발전이 있었다"고 지적한 뒤 "대표적인 사례로 전작의 경우 OLED에서도 HDR을 지원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HDR을 지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루머로 나왔던 슈퍼 닌텐도 스위치라는 명칭 대신 닌텐도 스위치2로 결정된 것과 관련해서는 "이러한 이름은 슈퍼 NES(일본 명칭 슈퍼 패미콤)를 생각나게 하지만 사실 NES(일본 명칭 패미콤)와 슈퍼 NES 사이에 호환성이 없었던 것과 달리 닌텐도 스위치의 후속 기기는 호환성을 가지고 새로운 기준이 되는 만큼 올바른 방향이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고 이야기했다.

한편 개발진은 전작 게임의 호환 여부에 대해 "웹사이트에 완전한 목록을 공개하겠다. '닌텐도 라보'의 경우 골판지 상자 사이즈에 맞지 않아 호환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형근 기자 (noarose@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