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위원장은 15일 부산 벡스코 현장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지속적인 성장의 핵심 중 하나는 글로벌 인지도와 브랜드의 권위가 중요하다"며 "올해 41개국에서 참여 신청이 왔고, 32개국 인디게임 개발자가 참여했다. 앞으로 서구권에 있는 인디게임 개발자가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방향성은 올해 슬로건 '매치 유어 인디 스피릿'에도 반영됐다. BIC 서정숙 사무국장은 "행사장에 관람객이 의견을 남길 수 있도록 스티커를 붙이는 장치를 마련해 의견을 수집하고 있다"며 "이런 의견을 벽에 붙여 회의를 통해 '인디 스피릿'을 알릴 수 있는 문구를 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지만, 도전을 멈추지 않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주 위원장은 "BIC는 상업적인 전시회가 아닌, 부스나 숙소를 지원하는 구조다. 행사가 잘 돼도 수익이 들어오지 않아 재정적 한계가 있다"라면서도 "재정이 확보되면 하루 더 일찍 전시를 개방하거나 서비스 범위를 넓히겠다"고 말했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