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은 먼저 성남시장 재직 시절을 회상하며 과거 정부의 규제 중심 정책이 산업 성장을 억눌렀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의 기본적인 생각이 (게임을) 4대 중독으로 묶고 억압정책을 펼쳤던 것 같다"라며 "중국보다 앞서 있었는데 추월을 당한 시점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성남·판교가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크다"라며 "지금도 예전과 크게 변하지 않은 것 같다. 고향에서 하던 사업 같다"고 덧붙였다.
게임을 단순한 오락이나 중독물질로 보는 시각에 대해서는 경계의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게임은 너무 재미있어서 과몰입이란 부작용이 생기는 것 같다"라며 "부작용은 부작용대로 대처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구더기가 생기면 연구해서 막아야지, 장독대를 없으면 안 된다"라고 비유하며 산업 자체를 억압하는 접근은 지양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청년 일자리와 수출을 견인하는 핵심 산업이란 점도 높게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게임이 성공하면 좋은 일자리가 많아지게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게 우리의 역할"이라며 "매출이나 영업이익이 늘어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젊은 직원들이 혜택을 나눌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끝으로 "대한민국 문화산업의 중추라는 생각을 가지고 업무에 임해달라"며 "게임은 중독 물질이 아니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지난 14일 대통령실 홈페이지를 통해 이번 한 주를 'K-컬처 주간'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내년 문화 예산을 9조6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8.8% 증액해 문화예술 부문 14%, 관광 부문 9.5%를 각각 증액해 문화 부문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