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 시민 발의(European Citizens’ Initiative, ECI) 형식으로 진행 중인 ‘스탑 킬링 게임즈(Stop Killing Games)' 캠페인은 온라인 게임의 서비스 종료와 함께, 이용자가 구매한 게임조차 더 이상 실행할 수 없게 되는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
캠페인 측은 ▲서버 종료 이후에도 최소한의 기능을 유지해야 하며, ▲이용자에게 오프라인 플레이 모드나 사설 서버 설치 등 대체 수단을 제공해야 하고, ▲이러한 권리가 EULA(최종 사용자 이용 약관)에 명시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디지털 다운로드형 게임 구매자에게 ‘서비스 이용권’이 아닌 ‘실질적인 소유권’을 인정해 달라는 요구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유럽의 게임 업계는 반발하고 있다. 유럽을 기반으로 한 게임사들의 연합체인 '비디오게임 유럽(Video Games Europe)'은 "캠페인 측의 요구는 개발사의 창작 자유를 억제하며, 기술, 경제적으로 과도한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온라인게임의 개인 관리 및 사설 서버 운용에 대해서도 관리의 어려움이나 개발 비용 증대로 인해 중소 게임사에게는 감당하기 어려운 기술적, 경제적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유럽 연합의 현재 법률에 있어서는 디지털 콘텐츠의 '무기한 접근 보장' 의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 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인상을 받았을 경우 허위, 과장 정보 제공으로 소비자 보호법(CPR) 위반 소지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이번 캠페인의 결과가 게임을 넘어 디지털 콘텐츠 전반에 대한 소유권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받는 중이다.
한편 유럽 게임 업계의 반발에 대해 캠페인을 시작한 로스 스콧은 "모든 게임을 완전 개방하자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가 구매한 콘텐츠가 기업의 결정 하나로 사라지는 구조가 정당화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알리고자 한다"라고 의견을 밝혔다. 이어 "이용자와 기업 간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게임 서비스 종료에 대한 절차와 대책이 사전에 명문화돼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김형근 기자 (noarose@dailygam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