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메뉴
닫기

닫기

베이글코드 김훈일 매니저 "AI, 창작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는 기술"

서삼광 기자

2025-10-21 16:53

AI 기반 스토리게임을 개발 경험을 공유한 베이글코드 김훈일 시니어 매니저.
AI 기반 스토리게임을 개발 경험을 공유한 베이글코드 김훈일 시니어 매니저.
베이글코드 김훈일 시니어 매니저가 인공지능(AI) 시대의 스토리텔링 기법과 이를 시각적인 요소로 만드는 작업 체계(파이프라인)를 개발할 때의 경험을 공유했다.

김 매니저는 21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오피지지(OPGG) 1층에서 한국게임미디어협회(KGMA, 회장 이택수)가 주최하고 한국게임기자클럽이 주관한 강연회에서 'AI로 완성하는 스토리 시각화(Visualization)' 발표에서 AI를 활용한 개발 체계를 맞춤형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베이글코드는 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술을 핵심 경쟁력으로 삼는 테크 기반의 게임사다. '클럽 베가스' 등 소셜 카지노 장르에서 성과를 내고 있으며, AI 워크플로우를 전면 도입하는 등 기술 기반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영화나 애니메이션은 재촬영 비용이 높아 파이프라인이나 콘티에 많은 정보를 담아야 하지만, AI 기반 파이프라인은 언제든지 다시 만들어 완성도를 검토할 수 있다고 한다.
영화나 애니메이션은 재촬영 비용이 높아 파이프라인이나 콘티에 많은 정보를 담아야 하지만, AI 기반 파이프라인은 언제든지 다시 만들어 완성도를 검토할 수 있다고 한다.
그는 "AI를 단순한 도구로 활용하는 데서 그치면 혁신은 일어나지 않는다"며 "AI가 가장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맞춤형 파이프라인이 필요하다"라고 진단했다.

이어 "기존 전문가들의 제작 방식을 그대로 옮기는 게 아니라, AI 특성에 맞는 제작 구조를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매니저는 자사 '제네바 팀'의 사례를 중심으로 AI가 스토리텔링과 시각화에 어떤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했다. 그는 "처음에는 비주얼 노벨 제작 자동화로 시작했지만, 결국 핵심은 스토리 자체의 시각화로 이동했다"며 "웹소설 텍스트를 입력하면 장면, 배경, 캐릭터, 관계를 자동으로 추출해 영상화하는 구조를 실험했다"라며 연구 배경을 소개했다.
베일글코드 내부 파이프라인을 통해 만들어 본 AI 생성물. 이 중에서 완성도가 높은 생성물을 골라, 추가 작업으로 고도화를 진행하는 게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베일글코드 내부 파이프라인을 통해 만들어 본 AI 생성물. 이 중에서 완성도가 높은 생성물을 골라, 추가 작업으로 고도화를 진행하는 게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실제로 베이글코드는 내부 개발대회(잼)을 통해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엮어(체인) 하나의 이야기에서 캐릭터와 배경을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분리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체계를 고도화 중이라고 한다. 단, 생산성 측면에서는 비용과 시간 면에서 우위가 있지만, 아직 완성도나 이용자의 반응에서 넘어야 할 고비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AI는 인간의 창작 과정을 단축하는 수단이 아니라 새로운 창작 방식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정의한 뒤 "AI가 창작자의 의도만 명확히 전달받는다면 반복 생산과 빠른 수정이 가능한 체계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런 구조가 정립돼야 AI 시대의 스토리 제작이 진정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매니저는 "AI를 효율화 도구로 볼 게 아니라, 창작 방식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 기술으로 봐야 할 것"이라며 "AI 맞춤형 작업 체계 구축이 앞으로 콘텐츠 제작 전반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AI 시대에는 확실한 강점을 지닌 T자형 인재가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며 "자신만의 고유한 강점을 강화하면서 나머지 분야는 AI를 활용하는 편이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

서삼광 기자

seosk@dailygame.co.kr

데일리 숏

전체보기
데일리 숏 더보기

HOT뉴스

최신뉴스

주요뉴스

유머 게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