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부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벡스코에서 개최 중인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 2025' 현장에서 만난 스테디터틀의 장성식 대표는 "2007년경 게임을 제작했던 경험이 있는데, 더 좋은 결과를 내고 싶다는 생각에 3년 전부터 다시 게임 개발을 시작했다"고 게임을 개발하게 된 계기를 밝혔다.
'게이트'는 기획 1년, 실제 개발 3개월 차에 접어들었으며, 현재 스팀 등급 심의가 진행 중으로 심의가 끝나는 대로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게이트' 개발에 참여한 이성목 개발자는 게임의 특징으로 "언리얼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해 타 게임 대비 시각적 품질이 높고 몰입도 역시 뛰어나다"라고 그래픽의 강점을 이야기한 뒤 "특히 1인칭 시점이라 공포감을 극대화했으며, 무기마다 독창적인 모션과 체험도 경험할 수 있다"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전작이 AI와 대결할 수 있는 싱글 플레이 모드로 선보여졌던 것과 달리 네트워크 버전으로 준비되며, 내년까지 모바일과 PC 크로스 플랫폼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실시간 전략 시뮬레이션 '도시 건설(가제)'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과거 '오게임', '부족전쟁' 등과 함께 전 세계 전략 시뮬레이션 팬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던 웹게임 '트라비안'을 모티브로 한 이 게임은 HTML5와 모바일 크로스 플랫폼으로 제작 중이다.
스테디터틀 측은 "현재 '도시 건설'은 코어 개발을 마친 상태로 그래픽 요소 등을 준비하는 단계"라고 개발 상황을 알렸으며, "내년 3월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출시 이후로는 1년 단위 시즌제로 게임 서비스가 이뤄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그렇다면 이들이 동시에 여러 게임을 개발하는 '다작' 전략을 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를 빠르게 작품화해 시장에 효율적으로 선보이기 위함이다.

장 대표는 "다작이 소규모 개발사에 쉽지 않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아이디어가 좋은 작품들인 만큼 동시에 선보이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확신이 있었다"며 "태국 게임스컴 아시아 등 해외 행사를 통해 글로벌 이용자와 퍼블리셔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라고 지금까지의 반응을 소개했다. 특히 가장 완성도가 높은 '게이트'의 경우 "영상보다 실제 플레이가 더 무섭고 기억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는 현장 평가를 받았다고 전했다.
반면 "'언리얼 엔진'을 잘 사용해 높은 수준의 게임을 만들고 있다는 평을 듣지만, 최적화가 어렵고 지원 없이는 개발이 힘든 점도 있다"라고 고충을 토로했다. 다만 "현재 경북글로벌게임센터를 통해 다방면에서 지원을 받고 있어 과거에 비해 원하는 게임을 만드는 데 집중하기 좋은 구조"라고 덧붙이고 센터 측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인터뷰를 마무리하며 이성목 개발자는 "'게이트'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호러 게임 경험을 선사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장 대표도 "3가지 게임을 시작으로 아이디어를 살린 개성 있는 게임을 꾸준히 선보일 것"이라며 "현재 구상 중인 MMORPG 장르의 게임이 있는데, 이는 물론 다양한 장르의 후속작을 꾸준히 선보이며 좋은 게임을 만드는 회사로 각인되고 싶다"라고 향후 계획을 전했다.
벡스코(부산)=김형근 기자(noarose@dailygame.co.kr)
김형근 기자 (noarose@dailygame.co.kr)



